학술지검색 The Society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논문검색

pISSN: 1226-8658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논문지, Vol.30 no.3 (2024)
pp.107~132

DOI : 10.29113/skpaer.2024.30.3.06

- 초등학생 식생활교육 콘텐츠 개발 현황 및 효과 평가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김윤아

(경상국립대학교 식품영양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이영민

(경인교육대학교)

최근 아동의 성장과 발달뿐만 아니라 건강증진을 위해 식생활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는 최근 10년간 출간된 한국 초등학생 대상으로 실시한 식생활교육 콘텐츠 개발 현황 및 효과 평가 에 대한 연구 동향을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하여 분석하고, 초등 식생활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 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국내 RISS, DBpia, KISS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2014년부터 2023년 까지 최근 10년간 KCI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39개 논문을 체계적 고찰에 포함하였다. 체계적 고찰에 포함된 총 39건의 연도별 현황을 보면, 2021년도에 2건부터 2019년도에 9건까지 연 평균 약 4건으로 조사되었고, 학년별 현황은 전체 39건 중 고학년(4-6)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18건(46.2%)으로 저학 년(1-3)을 대상으로 하는 것(5건, 12.8%)에 비해 3배 이상 많았다. 주제별 현황은 절반 정도가 건강한 식생활을 주제로 다루었으나, 식생활교육 기본계획을 주제로 한 것이 13건, 환경교육과 연계한 것이 2 건, 건강 위해 가능 영양성분인 당 섭취와 관련된 것이 2건이었으며, 영양 이외의 식품안전과 관련된 보존료나 식품첨가물을 주제로 다룬 연구가 각각 1건씩 있었다. 이 중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식생활교육 을 실시하고 교육적 효과를 평가한 연구는 67%(26/39)에 해당되었고, 지역별 현황은 13건의 연구 (50%)가 서울을 포함하여 시행되었으며, 연구방법의 대부분이 설문지법(21건, 80.8%)이었고, 설문지법 과 실험법을 병행한 것이 3건, 실험법을 사용한 것이 2건이었다. 연계 활동에 따른 분류는 총 26건 중 요리활동 중심의 식생활교육이 4건, 운동 프로그램과 연계한 것이 2건, 과학 실험 활동과 연계하거나 발명교육과 연계하고 효과를 평가한 것이 각각 1건씩 조사되었다. 초등학교 식생활교육의 효과 평가에 대한 연구의 대부분은 교육에 따른 지식, 인식, 태도, 행동의 변화에 대해 유의한 효과를 보고하였으나, 지식이나 인식, 태도에 비해 행동의 변화를 확인하지 못한 연구가 있었다. 학년별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이론 바탕의 체험, 실습으로 구성된 식생활 교육 콘텐츠가 학년별 또는 학년군별로 개발되어야 할 것 이며, 에듀테크가 통합적으로 접목된 식생활교육 콘텐츠의 개발이 요구된다.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Dietary Education Contents Development Status and Effectiveness Research Trends

Yoona Kim

Youngmin Lee

Recently, the importance of dietary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not only for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but also for health promo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the development status and effectiveness evaluation of dietary education contents conducted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published domestic papers over the past 10 years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lementary dietary education research. Through a search of the domestic RISS, DBpia, and KISS online databases, 39 papers published in KCI-registered journals over the past 10 years from 2014 to 2023 were included in the systematic review. Looking at the yearly status of a total of 39 cases included in the systematic review, an average of about 4 papers were investigated per year, from 2 in 2021 to 9 in 2019. As for the status by grade, out of a total of 39 cases, 18 cases (46.2%) targeted only upper grades (4-6), which was more than three times more than those targeting lower grades (1-3)(5 cases, 12.8%). As for the status by topic, about half of them were about healthy eating, but 13 cases were related to the basic plan for national dietary education, 2 cases were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2 cases were related to the intake of sugar, a nutrient that can be harmful to health. Two cases addressed for the food safety including one for food preservatives and one for food additives. Among these, 67% (26/39) of the studies conducted dietary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evaluated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As for the status by region, 13 cases (50%) were conducted including Seoul, and most of the research methods were questionnaire methods. Three cases used a combination of questionnaire and experimental methods, and 2 cases used experimental methods. As for classification according to linked activities, among 26 cases, 4 cases were investigated for dietary education focusing on cooking activities, 2 cases involved exercise programs and 2 cases included either science experiment activities or invention education. Most of the studies on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elementary school diet education reported significant effects on changes in knowledge, perception, attitude, and behavior, but there were studies that failed to confirm changes in behavior compared to knowledge, perception, and attitude. Dietary education content that reflects the curriculum for each grade and consists of theorybased experience and practice should be developed by grade or grade group, and the development of dietary education content that integrates EduTech is required.

다운로드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