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지검색 The Society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논문검색

pISSN: 1226-8658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논문지, Vol.30 no.3 (2024)
pp.63~83

DOI : 10.29113/skpaer.2024.30.3.04

- 수시 개정 교육과정기 실과 검정 교과서의 체제 비교분석 -

김형균

(공주교육대학교)

본 연구는 수시 개정 교육과정기에 개발된 총 39종 실과 검정 교과서의 체제를 비교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차기 교과서 개발의 기초 자료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7, 2011,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5, 6학년 실과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과 검정 교과서 전체의 단원 배치, 분량, 판형, 단원구성 체제(도입, 전개, 정리)에 대해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수시 개정 교육과정기에 개발된 실과교과서는 각 시기뿐만 아니라 교육과정 변천에 따라 많은 차이와 변화가 있었음이 밝혀졌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세 차례에 걸친 수 시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 실과 검정 교과서의 단원 배치는 교과의 특성, 교과 내용의 의미, 교과 내용 의 계절성 등의 특별한 원리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둘째, 세 차례에 걸친 수시 개 정 교육과정 시기에 개발된 검정 교과서의 도입부, 전개부, 정리부에서의 차이는 교과서별로 큰 차이는 없었지만, 해당 항목별로 사용하는 용어나 표현, 기술 방식, 순서, 양적인 차이는 어느 정도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새로 개발되는 실과 검정 교과서는 교과서 간 분량(쪽수)의 차이가 지나쳐서는 안 되고, 학생의 전학 등의 이유로 학생 학습권의 침해가 생기지 않도록 적어도 학년, 학기 내에서는 교과서에 같은 성취기준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노력도 필요하 다 둘째, 본 연구처럼 교과서 전체의 체제에 대한 것 이외 영역별로 변화된 내용 요소, 내용의 선정과 조직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앞으로 2022 교육과정에 의해 만들어질 새로 운 실과 검정 교과서에 관한 연구도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ystem of Practice Arts Textbooks for Occasional Revised Curriculum

Hyunggyun Kim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system of a total of 39 practical course textbooks developed during the period of occasional revision of the curriculum, and based on the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xt textbook. In this study, the 5th and 6th grade practical course textbooks developed by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2011, and 2015 were targeted. In this study, the unit arrangement, quantity, plate shape, and unit composition system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arrangement) of the entire practical course textbook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practical course textbooks developed during the period of frequent revision of the curriculum had many differences and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urriculum as well as each period. The conclusions draw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verall, it does not appear that the unit placement of the practical examination textbook during the three occasional revised curriculum periods was made by special principle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he meaning of the subject content, and the seasonality of the subject content.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arrangement of the certified textbooks developed during the three occasional revised curriculums, bu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erms, expressions, description methods, order, and quantity used for each item.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irst, the newly developed practical examination textbook should not have an excessive difference in the amount (page) between textbooks, and efforts are also needed to ensure that the same achievement standards can be entered in textbooks at least within the grade and semester so that there is no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learn due to the transfer of students. Second, as in this study, research on changed content elements and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ation for each area other than the entire system of the textbook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In addition, research on new practical examination textbooks to be made by the 2022 curriculum should be continued.

다운로드 리스트